본문 바로가기

분류 전체보기

10월 10일 목요일 본 캠프 개발 일지 | Unity 개발 입문 강의 📌 유니티 개발 입문 강의를 10강까지 수강했다. 개념이나 원리는 어느 정도 이해했지만 스크립트에 응용할 땐 머리가 멍해진다. 특히 쿼터니언~ 진짜 모르겠다. 쿼터니언은 한번 더 공부하고, 오늘은 새롭게 알게 된 부분만 정리해야겠다. 학습 내용  1. 프리팹(Prefab)2. 열거형(Enum)1. 프리팹(Prefab)으로 공격 시스템 구현하기  ✅ 프리팹(Prefab)   사전 캠프 때부터 나왔던 필수 개념! 게임오브젝트를 에셋으로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다. 총에서 총알이 계속해서 나가는 게임이라면, 똑같은 총알을 nn개 만들 필요 없이 한 개의 총알을 프리팹으로 만들어서 사용하면 깔끔! 일관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색상 변경 등도 한 번에 가능하다.  ✅ Instantiate 함수로 프리팹을 불러오자!.. 더보기
10월 10일 목요일 Basic class 오리엔테이션 📌 베이직반 오티를 진행했다. 맨날 고인물들이 하는 질문 못 알아듣다가 나랑 비슷한 고민/생각 하는 분들이랑 자와자와 하니까 행복해 🫶 앞으로 베이직반 특강은 월요일/수요일 오후 4시에 진행될 예정이다.  오티라 학습 내용은 없었고 Q&A 시간에 나왔던 내용만 짧게 정리해보려고 한다.   ✅ 코드 컨벤션은 매우매우 중요하다이름만으로도 그 함수나 클래스가 무슨 일을 하는지 어느정도 알 수 있어야 함!✅ 유니티 단축키  Unity 단축키(Unity Hotkeys) - Unity 매뉴얼이 페이지에서는 디폴트 Unity 단축키에 대한 개요를 제시합니다. Windows 및 MacOSX 단축키 표를 PDF로 다운로드할 수도 있습니다: 커맨드 키 입력에 CTRL/CMD 가 포함된 경우 Windows에서는 Ctrl.. 더보기
10월 8일 화요일 본 캠프 개발 일지 | Unity 개발 입문 강의 📌 블로그 가독성이 너무 떨어지는 것 같아서 전체적으로 갈아엎었다. 나중에 봐도 무슨 내용인지 알 수 있도록 최소 1시간 이상은 꼭 TIL을 꼼꼼히 작성해야겠다는 다짐도 같이 했다. 카테고리까지 딱딱 정리해두니 마음이 편-안. 어제와 동일하게 유니티 개발 입문 강의를 계속 학습하고 있다.  학습 내용   1.Input System Input system   ✅ Input system?  Unity가 제공하는 최신 입력 처리 패키지. 키값 설정을 통해 캐릭터를 이동하는 기능을 제공한다. 입력을 프레임마다 확인하는 폴링 방식이 아니라, 이벤트 기반으로 입력을 처리한다. 특정 키가 눌렸을 때 자동으로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원리! 구형식인 'Input Manager'보다 확장성이 좋고 멀티플레이어에 용이하다. .. 더보기
10월 7일 월요일 본 캠프 개발 일지 | Unity 개발 입문 강의 InputManagerUnity에서 사용자의 입력(키보드, 마우스, 게임패드 등)을 처리하는 시스템즉, 캐릭터 이동!축(Axis) 입력 관리: Input.GetAxis나 Input.GetAxisRaw를 통해 조이스틱, 마우스 또는 키보드의 축 움직임을 감지한다. 기본적으로 "Horizontal"과 "Vertical" 축이 설정되어 있으며, 이를 사용해 캐릭터 이동 같은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. 이때 Raw는 움직임을 조금 더 깔끔하게 만들어줌. 더보기
C# 동적 인스턴스 생성 단축키- F12: 현재 커서 위치의 변수, 메소드, 클래스 또는 속성의 정의된 위치로 이동  - F9:  현재 커서가 위치한 줄에 중단점을 추가하거나 제거, 중단점은 디버깅 중 특정 줄에서 실행을 일시 중지Console.ReadKey(); while (true) { // 생략 if (input == "0") { Location.SetLocation(STATE.마을); break; } else if (input == "1") { Random random = new Random(); player.HP += random.Next(0, 51); player.MP += random.Next(0, 51).. 더보기
9월 30일 월요일 본 캠프 개발 일지 다른 클래스의 변수에 접근하는 방법 직접 접근하기 public class ClassA{ public int myValue = 10;}public class ClassB{ public void PrintValue() { ClassA a = new ClassA(); Console.WriteLine(a.myValue); }} 변수를 메서드로 바꿔서 캡슐화하기public class ClassA{ private int myValue = 10; // private으로 설정하여 직접 접근 방지 public int GetMyValue() // public 메서드 제공 { return myValue; }}public class Clas.. 더보기
9월 27일 금요일 본 캠프 개발 일지 | 개인 과제 해설 강의 참조: 해당 메서드를 몇 개 참조하고 있는지다른 곳에서 메서드가 잘 불러왔는지 확인할 때 보기프로그램 실행 후 Tab 키로 함수 하나씩 확인하면서 어떤 값이 적용됐는지 확인 가능 배열과 리스트의 정확한 이해 필요 더보기
9월 26일 목요일 본 캠프 개발 일지 | 개인 과제 해설 강의 해설 강의* 화면, 기능 등으로 해야 할 작업을 구조별로 나눠서 미리 생각해두고 진행하는 편이 좋다. Console/ReadLine()내 코드 Console.Write("\n\n원하시는 행동을 입력해주세요: ");string input = Console.ReadLine(); switch (input) {해설 코드Console.Write("\n\n원하시는 행동을 입력해주세요: ");string input = Console.ReadLine();int result = int.Parse(Input); // input한 정수형 결과를 result에 저장 switch (result) { 숫자를 입력받아 처리하는 경우라면 해설 코드의 방식이 더 명확하고, 문자열 명령어를 입력받는 경우라면 내 코드 방식이 더.. 더보기